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위식도 역류질환, 역류성 식도염, 속쓰림의 원인과 예방, 치료

by 닥터 포자 2023. 3. 26.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

1. 위식도 역류 질환이란?, 증상?

위 내용물이 역류하여 불편한 증상을 일으키거나 합병증을 일으키는 것 입니다.

심장이 타는 듯이 아프다고 Heart burn 이라고도 부릅니다.

우리나라에서의 유병률은 7.9%이고 무증상 까지 포함시 12%나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형적인 증상은 가슴쓰림과 산 역류 입니다.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삼킴곤란, 흉통이 있을 수 있고 짠맛이 나는 침이 과다하게 나온다거나, 산 역류로 인해 이빨이 손상될수도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2. 왜 생기나요?

1. 하부식도 조임근 압력의 저하

흔히들 트름할때 토가 나올 것 같은 증상을 경험하신 적이 있을겁니다. 바로 그겁니다. 일과성으로 하부식도 조임근이 이완되어 트림할때 내용물이 역류되는 것입니다. 보통 위가 식도보다 걸려있는 압력자체가 크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위식도역류의 가장 높은 빈도의 원인입니다.

2. 열공 탈장

역류성 식도염

위의 일부분이 해부학적 이상에 의해 횡경막을 넘어 흉강 내로 돌출될 때 입니다. 흔친 않습니다.

3. 식도 연동 운동의 이상, 타액분비 감소, 식도점막하 분비선 이상

쉽게 생각해서 우리몸의 식도가 올라오는 위산을 잘 씻어내리지 못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식도에 침이나 끈끈한 점액질이 있어야 해로운 위산으로부터 보호를 할 수 있겠죠?.

4. 위 내용물의 증가

역류성 식도염

이것도 상상하기 쉽습니다. 폭식을 하거나 소화가 안되어서 위 배출이 지연될때 음식물이 올라올 것 같은 경험을 하신적이 있을 겁니다.

5. 누워있거나 구부릴 때

6. 위압의 증가

복부비만이 심하거나 임신을 하였을때, 복수가 차있을땐 복압이 올라가기 때문에 위 내용물이 역류하기 쉽습니다.

 

 

3. 예방

1. 빠르게 걷기

역류성 식도염

위장의 운동성을 높이기 위해서 가장 좋은 운동은 빨리 걷기 입니다. 운동은 30분 정도가 적당하며, 등에 약간 땀이 날 때까지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복부마사지

아침에 일어나서 주먹을 가볍게 쥐시고 배꼽 주변을 5분정도 두드려주세요. 그 후엔 손바닥으로 배를 문질러주고 꾹꾹 눌러 뭉친 곳은 없는지 확인해 보고 풀어줍니다. 따뜻한 물 한잔을 마시고 하면 좋습니다.

3. 복식호흡

숨을 쉴 때 입술을 딱 붙이고 코로만 숨을 쉬어서 아랫배가 앞뒤로 움직이도록 배로 호흡합니다. 이렇게 하면 횡경막이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위장의 움직임을 도와줍니다.

4. 생활습관 교정

역류성 식도염

식후 적어도 2~3시간은 눕지 않습니다!!!!!, 바로 누우면 음식물 소화가 느려져 위산 역류를 부추깁니다!

야식이나 카페인., 탄산음료, 기름진 음식, 술, 담배 등 식도괄약근을 약하게 하는 요인을 피합시다!!, 비만이라면 체중을 줄이는것이 도움이 됩니다.

 

4.치료

역류성 식도염

의료진 지도하에 약물을 처방받아 치료받습니다. 약은 쉽게말하면 위산이 나오는것 자체를 방지하는 약입니다. 혹여나 약물로도 치료가 잘 되지 않는다면 수술적인 치료를 해볼 수 있습니다. 수술은 위와 식도를 연결하는 식도하부 조임근에 내시경적으로 스테이플을 삽입하여 근육을 강화하는 방법입니다.

반응형

댓글